직업상담사/직업상담학

[ 직업 상담학 ] 직상 직업 상담사 2급 출제기준 개정(필기) 자격증 시험 대비

goodday24680 2020. 11. 9. 13:13

 

 

[ 직업 상담학 ] 직업 상담사 2급  출제기준 개정(필기) 자격증 시험 대비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 등에서 심리학과, 경영·경제학과, 법정계열학과, 교육심리학과 등과 기타 사회교육기관의 직업상담사과정 및 사설학원

③ 시험과목

 - 필기 1.직업상담학(20문제) 2.직업심리학(20문제) 3. 직업정보론(20문제) 4.노동시장론(20문제) 5. 노동관계법규(20문제)

 - 실기 : 직업상담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100문제), 150분

 - 실기 : 필답형, 2시간 30분

⑤ 합격기준

 - 필기 : 매 과목 40점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60점 이상

 

 

직업상담사2급 출제기준 개정 (필기)

직무분야  - 사회복지 종교  자격종목 직업상담사 2급 적용기간 - 22020년 0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 직무내용 노동시장, 직업세계 등과 관련된 직업정보를 수집-제공하고, 직업탐색, 직업적응 등에서 발생

  하는 개인의 직업 관련 문제 및 기업의 인력채용을 상담, 지원하는 직무이다. 

 

필기과목명 직업상담학 출제 문제수 20문제 

주요항목 

주요항목 1. 직업상담의 개념 

 

  세부항목 1). 직업상담의 기초  

 

     세세항목  (1) . 직업상담의 정의 (2). 직업상담의 목적 (3). 직업상담자의 역할 및 영역 (4).집단직업상담의 의미 

 

  세부항목 2). 직업상담의 문제유형 

 

    세세항목 (1),  윌리암슨의 분류 (2). 보딘의 분류 (3). 크릿츠의 분류 (4). 직업의사결정상태에 따른 분류

 

주요항목 2. 직업상담의 이론 

 

 세부항목 1). 기초상담 이론의 종류 

 

  세세항목 (1). 정신분석적 상담 (2). 아들러의 개인주의 상담 (3). 실존주의 상담 (4). 내담자중심상담 

               (5). 형태주의 상담 (6). 교류분석적 상담 (7). 행동주의 상담 (8). 인지적_정서적 상담 

 

주요항목 3. 직업상담 접근방법 

 

 세부항목 1). 특성_요인 직업 상담 

  

  세세항목 (1). 특성-요인 직업상담 모형, 방법, 평가

 

 세부항목 2). 내담자 중심 직업 상담 

 

  세세항목 (1). 내담자 중심 직업상담 모형, 방법, 평가 

 

 세부항목3). 정신역동적 직업 상담 

 

 세세항목(1).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모형, 방법, 평가 

 

 세부항목 4). 발달적 직업 상담 

 

 세세항목 (1). 발달적 직업상담 모형, 방법, 평가 

 

 세부항목 5). 행동주의 직업 상담 

 

 세세항목 (1). 행동주의 직업상담 모형, 방법, 평가

 

 세부항목 6). 포괄적 직업상담 

 

 세세항목 (1). 포괄적 직업상담 모형, 방법, 평가

 

주요항목 4. 직업상담의 기법

 

 세부항목1). 초기면담의 의미        

                                                                  

  세세항목 (1). 초기면담의 유형과 요소 (2). 초기면담의 단계

 

 세부항목2). 구조화된 면담법의 의미 

 

 세세항목 (1). 생애진로사정의 의미  (2). 생애진로사정의 구조 (3). 생애진로사정의 적용

 

 세부항목3). 내담자 사정의 의미

 

  세세항목 (1).동기, 역할 사정하기 (2). 가치사정하기  (3). 흥미사정하기 (4). 성격사정하기 

 

세부항목 4). 목표설정 및 진로시간 전망 

 

 세세항목 (1). 목표설정의 의미 및 특성 (2.) 진로시간 전망의 의미 

 

세부항목 5). 내담자의 인지적 명확성 사정 

 

 세세항목 (1) 면담의존 사정과 사정 시의 가정 (2). 사정과 가설발달의 의미 

 

세부항목 6). 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에 대한 이해 

 

 세세항목 (1). 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에 대한 이해기법 

 

세부항목 7). 대안개발과 의사결정 

  

  세세항목 (1). 대안선택 및 문제해결 

 

주요항목 5. 직업상담 행정 

 

 세부항목1). 취업지원 관련보고 

 

 세세항목 (1). 정기보고 (2). 수시보고

 

 세부항목 2). 직업상담사의 윤리 

 

  세세항목 (1). 직업상담시 윤리적 문제

 

 세부항목 3). 직업상담사의 보호

 

  세세항목 (1). 건강장해 예방조치 (산업안전보건법령)